이럴수가 썸네일형 리스트형 이기적인 암세포 우리 인간의 몸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의 큰 특징은 무엇보다도 세포 자기 자신을 위해서 증식을 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 전체인 생명을 위해서 분화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인간이라는 생명체가 유지될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세포의 생명 전체를 위하는 모습은 자기 자신의 사익을 추구하기 보다는 국가 전체의 이익을 위해서 일하고 있는 공무원, 공직에 있는 사람들을 떠올리게 한다. 공무원들은 우리 사회의 여러 곳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각자의 역할을 맡아 국가와 지방의 운영을 책임지고 있다. 세포가 없이는 인간의 생명이 유지될 수 없듯이 국가의 생명은 공무원들에 의해서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만약 이들에게 문제가 생긴다면 국가의 존립 자체가 위험해 지기 때문에 공.. 더보기 우리 사회의 기억, 망각, 치매 사람들은 기억과 망각을 동시에 행하며 산다. 모든 것을 기억할 수도 없으며 모든 것을 기억한다고 했을 때는 살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때론 너무 많은 기억이 사람을 혼란스럽게 할 수도 있으며 너무 많은 망각은 똑같은 잘못을 똑같이 저지르는 반복된 실수를 유발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기억과 망각의 적절한 조화는 본능에 의거한 살기위하여 뇌가 알아서 진화한 경우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기억과 망각의 적절한 조화가 극단적으로 깨지는 경우가 바로 치매가 아닐까 한다. 생활 속에서 깜빡깜빡하는 정도에 그치는 건망증의 수준을 넘어서는 치매는 퇴행성 뇌질환으로 기억의 강제 실종을 만드는 병이다. 어떻게 보면 암보다도 무서운 병이 치매이다. 아프면 아픈 곳을 치료하면 되지만 이 병은 환부를 도려낼 수도 없이.. 더보기 국가와 부모 자신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을 꼽으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꼭 부모님을 꼽고는 한다. 그만큼 부모가 자식에게 끼치는 영향력도 크거니와 좋은 부모의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최근 울산, 칠곡에서 일어난 계모의 자녀폭행사건처럼 도저히 좋은 부모라 할 수 없는 나쁜 부모의 모습이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다. 부모로서의 자질을 의심케 하는 이 시대의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며 이는 더 나아가 모든 국민의 부모인 국가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국가는 국민들의 부모가 아닐까?) 부모라면 응당 자식이 성인이 될 때까지 보호해주며 올바른 한 사람의 인격체가 될 수 있도록 때로는 일침을 통해 채찍을 휘두르기도 한다. 좋은 부모와 나쁜 부모로 평하는 기준도 결과적으로 자식에게 어.. 더보기 세상에게 고하는 메시지 *'한공주'를 보고 한공주 by 이수진(*스포일러주의) 0. 이 시대의 공주들각 가정의 자식들은 누구나 마찬가지이겠지만 그 부모들의 왕자이자 공주들이다. 앞으로 어떤 삶을 살아갈 수 있을지 아무도 모르지만 그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더 없이 소중한 존재라는 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내 자식이 귀한 줄 알면 다른 집 자식들도 귀한 줄 안다는 말처럼 이 시대의 왕자들, 공주들을 지켜주어야 할 의무가 이 사회의 구성원들에게 있다. 그렇지만 ‘한공주’를 지켜줄 곳, 사람은 전혀 없다는 것을 영화는 보여준다. (출처: 영화 '한공주') 1. 이 시대, 사회의 어른*어른: 다 자란 사람. 또는 다 자라서 자기 일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사람.(출처:네이버 사전) 공주를 헤하려드는 고릴라들, 지켜주려고 하.. 더보기 진짜와 가짜의 사이 아메리칸 허슬(American Hustle) by David O.Russell 을 보고. 1.Real & Fake 무엇이 진짜이고 무엇이 가짜인가, 속고 속이는 세상 속 진짜를 찾아가는 과정. 어쩌면 어빙이나 시드니처럼 자신을 속인 채 살아가는 우리들 모두는 사기꾼이지 않을까?우리는 누구나 다른 사람만이 아니라 자기 자신까지 속이면서 살아간다, 그렇기에 자기합리화가 판치는 세상이다. 자기합리화라는 것이 꼭 부정적인 요소라고 볼 수는 없지만. 너도 나도 자기합리화가 일어나는 일상 속의 모습을 감독이 여실히 꼬아서 보여준 것이라 생각한다. 사람들은 자신의 어떤 모습이 진짜 인지도 모른 채, 진짜이고 싶은 모습만 다른 이들에게 보여주려고만 한다. 리치가 곱슬머리도 아닌 자신의 머리를 곱슬머리로 만드는 것처럼... 더보기 어울리지 않는 단어의 조합. 가정과 폭력 엄마, 아빠. 부모님이 말을 듣기만 해도 자동적으로 눈물을 흘리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최근 일어난 세월호의 아픔을 보지 않더라도 가족애만큼 절실한 것도, 한없이 따뜻한 것도 없으리라. 사회의 가장 기초 단위가 되는 가족은 그 구성원에게는 물론 이거니와 조직, 국가, 나아가 전 세계에 큰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오죽하면 가정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는 말(가화만사성)이 있겠는가. 그런 가족이 최근 망가지고 무너지고 있다. 서로를 때리고 물고 뜯으며 마침내 사지로 몰아 죽음에 이르게 만드는 장이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출처:SBS 스페셜 홈페이지) 무언가족. 가족끼리 말이 없고 소통이 없는 현상을 본떠서 만들어진 신조어이다. 그만큼 가족들 사이가 예전 같지 않음을 의미한다. 더 이상 가족이 상징하는 바가 무.. 더보기 노예(Slave) 노예(奴隸)1.남의 소유물로 되어 부림을 당하는 사람. 모든 권리와 생산 수단을 빼앗기고, 물건처럼 사고팔리던 노예제 사회의 피지배 계급이다.2 .인간으로서 기본적인 권리나 자유를 빼앗겨 자기 의사나 행동을 주장하지 못하고 남에게 사역(使役)되는 사람.3 .인격의 존엄성마저 저버리면서까지 어떤 목적에 얽매인 사람 (출처: 네이버 국어사전) -2014년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노예 12년(12 Years a Slave)"-전라도 신안군 "염전 노예사건"-대주그룹 허재호 전 회장의 "황제 노역"-포괄근저당 족쇄에 묶인 '銀行 노예' 130만명 노예의 정의와 최근 노예와 관련된 이슈들이다.생각보다 우리가 생각한 노예 이외에 노예들이 많은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사를 보면서 나 자신에게 묻게 된다. .. 더보기 새정치란... 병원에서는 치료를 목적으로 수술을 할 경우 몸의 일부든 전체든 마취를 한다. 마취를 하지 않을 경우에 느껴지는 고통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 치료가 모두 끝난 후, 마취가 서서히 풀리면서 밀려오는 고통은 겪어보지 않은 사람은 모를 것이다. 이렇게 치료를 할 때는 괜찮겠지만 이런 마취 상태가 평소에도 지속된다고 하면 어떨까? 아마 다쳐도 자신이 다쳤는지를 모를 것이기에 한시 빨리 마취에서 깨어 현실로 돌아올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이처럼 우리 사회도 현재 마취에 걸려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깨우기 위한 약이 필요한 데, 바로 그 약이 아무도 정체를 모르게 사회에 투여된 ‘새정치’이다. 지금까지의 기존 기성정치의 문제 중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는 것이다. 마치 다른 세상에서.. 더보기 너나 잘해 전화기가 뜨겁다. 이미 몇 시간이 지나갔는지도 모를 정도로 나의 연애 상담을 계속되고 있다. 그 때, 수화기 너머로 들려오는 허세 가득한 친구의 목소리가 나의 멍한 정신을 일깨운다.“거기서 그렇게 행동하면 안 되지! 너는 생각이 있는 거니 없는 거니?”우연치 않게 걸려온 친구의 전화에 시작된 이야기였지만 내가 이런 소리까지 들어야 되나 싶은 정도로 잘못한 게 맞는 건지 의구심이 든다. ‘너나 잘해’라는 말이 목구멍까지 나왔지만 겨우 눌러내었다. 허세심이 하늘을 찌를 듯 하는 이 친구는 지금까지 연애한 번 못해본 모태솔로이기 때문이다. 허세라는 단어가 쓰인지는 그리 오래 되지 않은 것 같다. 그렇지만 어느 순간부터 허세에 어울리는 사람들이 점차적으로 등장하게 되었고 이는 하나의 사회적인 현상으로까지 이어져.. 더보기 기차, 철도, 역 그리고 사람 해가 진 어두컴컴한 밤 속에서의 청량리역은 찬 공기가 온몸 구석구석을 휘감을 정도로 냉기가 가득하다. 남들은 따뜻한 방 안에서 이불을 뒤집어쓰고 있을 때 밤 기차를 타기 위해서 온 사람이라면 느낄 수 있는 역의 모습은 어느 역이나 비슷할 것이다. 물론 그 때가 한 해가 마무리되고 다음 해로 넘어가는 시기라면 조금 다를지 모르지만 말이다. 정동진행 밤 기차를 타본 사람은 부지기수일 것이다. 해돋이를 보기 위해서 5~6시간 정도의 긴 기차 여행을 경험을 해본 사람들이라면 느끼겠지만 꽤나 고역이 아닐 수 없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그런 고생을 마다하지 않는다. 좁은 기차 안에서 새우 잠을 청하는 불편함을 감수하면서라도 떠나는 기차 여행은 그것만으로 기차의 낭만을 전해주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어렸을 적, 기차에 ..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