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공주'를 보고
한공주 by 이수진
(*스포일러주의)
0. 이 시대의 공주들
각 가정의 자식들은 누구나 마찬가지이겠지만 그 부모들의 왕자이자 공주들이다. 앞으로 어떤 삶을 살아갈 수 있을지 아무도 모르지만 그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더 없이 소중한 존재라는 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내 자식이 귀한 줄 알면 다른 집 자식들도 귀한 줄 안다는 말처럼 이 시대의 왕자들, 공주들을 지켜주어야 할 의무가 이 사회의 구성원들에게 있다.
그렇지만 ‘한공주’를 지켜줄 곳, 사람은 전혀 없다는 것을 영화는 보여준다.
(출처: 영화 '한공주')
1. 이 시대, 사회의 어른
*어른:
다 자란 사람. 또는 다 자라서 자기 일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사람.(출처:네이버 사전)
공주를 헤하려드는 고릴라들, 지켜주려고 하면서도 결과적으로 아무것도 해주지 못하고 바라보기만 하는 친부모, 이 외에도 선생님, 선생님 어머니, 고릴라의 부모들, 경찰에 이르기까지, 모두 이 시대, 사회의 어른들의 모습이자 우리들의 모습이다.
이는 우리, 어른들에게 고하는 메시지이다. 희망의 문턱에서 가로막고 좌절시키는 어른들의 모습은 공주에게 필요한, 사회가 바라는 역할과는 정반대의 것이다.
그들, 아니 우리들에게 공주는 묻는다.
“어른이란 무엇인가?”
어른의 자격, 나이만 먹는다고, 오래 살았다고 어른인가?
이 사회에 있는 어른의 존재 의의와 역할은 무엇인가?
시쳇말로 나잇값 못한다는 소리를 하고는 한다, 그것이 결코 긍정적인 의미로 쓰이고 있지는 않으리라. 군대라는 이 사회의 축소판(좋은 부분보다는 나쁜 부분이 더 쉽게 눈에 뜨이는 특성을 갖고는 있지만)에서도 이는 짬밥이라는 것을 통해 표출된다, 여기에 속칭 쌀밥이라는 관련어도 있는데, 이는 본래 사회에서의 ‘성인, 어른’이 되자마자 오는 대부분의 경우와 달리 조금은 나이를 더 먹고 들어오는 이들에게 주로 쓰이는 말이다. 말 그대로 군대에서의 짬밥보다는 사회에서의 쌀밥을 더 많이 먹고 들어왔다는 의미이다. 이것이 상징하는 바는 결국 나이만 먹었지 제대로 된 어른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겉모습만 어른인 이들을 지칭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어른들의 자성이 속출하는 이 시점에서 어딘가 묘하게 많이 닮아있는 것이 소름이 끼칠 정도이다. 사회적 본분과 자신이 맡은 바 소임을 다하지 못하고 책임지지 못하는 사람들은 어른이라 부를 수 없는 것처럼 말이다.
‘나이를 먹으면서 자기가 세상의 모든 지혜를 얻게 됐다고 믿는 것, 옳고 그름을 분별할 수 있을 만큼 깊이 있는 삶을 살지도 못했으면서도’ - 승자는 혼자다 中에서
2.괴물, 누가 괴물인가?
피해자, 약자가 오히려 보호받지 못하고 다수로부터 도망치고 피해야하는 세상,
공주를, 그들을 괴물로 몰아붙인 건 누구인가?
피해자가 ‘나는 피해자입니다.’라고 당당히 말할 수 있지 못하는 사회가 올바른 사회라고 볼 수 있을까? 이는 자신의 이익, 가족만을 생각하다가 남에 대한 아픔은 생각지 않는 ‘무공감’의 사회가 빚어낸 결과물이다. 이러다 우리 모두가 사이코패스화 되는 건 아닐지 심히 염려스럽다, 어쩌면 수백 명의 아이들을 죽음으로 몰아넣은 일은 이미 예견된 일이지 않았을까 하는 자조 섞인 한숨만이 나올 뿐이다. 괴물은 공주가 아니라 우리들이다.
공주를 끝까지 마음 아프게 하는 것은 괴물들로부터 진정한 사과를 받지 못했던 것이 아닐까 한다. 단순히 사과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지만 제대로 된 사과를 하려고 시도조차 하지 않는 것이 괴물이라 어쩔 수 없는 것이라 생각하기에는 공주는 몸도, 마음도 모두 많이 다쳤다.
3.진실과 사실
사실: 눈에 직접 보이는 객관적 사실의 실체들, 실제 이루어진 일들(참/거짓 사실)
진실: 사실 속에 감추어진 본질적인 것, 참 사실
진실과 사실을 구별할 수 있는 능력
4.받지 못한 전화
나였다면 받을 수 있었을까?
친구의 상처를 보듬어 주고 받아줄 수 있는, 그런 어른일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전화는 끊어지겠지.
(출처: 네이버 영화)
5.Ciao bella, Ciao
사랑스런 사람아, 차오(안녕히)
작별의 노래, 자유를 위한 하나의 꽃, 한공주
그녀와 작별하는 영화의 라스트 씬.
친구들과 함께한 아카펠라인 이 노래와 함께 마무리되기에 그녀가 얼마나 더 사랑스러운 존재였는지를 말해준다.
6.수영
공주는 수영을 배운다. 25m라도 자신의 혼자 힘으로 헤엄쳐 나가기를 바라며
비록 그 끝에 다다랐을 때, 벽이 있을 것이라 하더라도.
살아가기 힘든 수 만 가지의 이유 속에서 살아갈 수 있는 한 가지의 희망, 이유를 위한 공주의 헤엄침에 조그마한 힘이라도 되었다면. 그럴 능력, 역할을 해낼 수 있는 어른이 되어야겠지.
'구시렁구시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물원과 스데롯 시네마 (0) | 2014.07.18 |
---|---|
아빠의 자격 (0) | 2014.06.26 |
진짜와 가짜의 사이 (0) | 2014.04.30 |
공정여행, 착한여행, 책임여행 (0) | 2013.05.29 |
인지부조화(Cognitive dissonance) (0) | 2012.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