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ist/문화PD(8th)

문화PD 8th.

럴균 2013. 7. 21. 21:53

*문화 PD란?



문화 PD 란 기획, 촬영, 편집 등 제작을 담당할 'PD'와 현장의 취재, 디렉팅, 콘텐츠의 구성, 작가, 리포터 역할 등을 종합적으로 담당할 '쟈키' 2인 1조로 구성되어 전국 시, 군, 구 지역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문화정보를 찾아 표준화, 일원화, 참여형화 하여 새로운 문화멀티미디어콘텐츠로 재생산하는 문화정보전달자를 말합니다.


*문화PD양성
- 문화정보를 생산, 유통, 서비스 할 수 있는 문화적 소양을 갖춘 전문 인력의 양성 
- 문화교양, 공통실무, 분야별 전공선택, 지역심화교육 과정으로 구성되어 5~6주간의 교육이수 및 제작활동 후 최종 평가를 통해 문화PD 선발

 문화PD 활동을 통한 지역문화 콘텐츠의 생산 구축 
- 본부 문화PD와 지역 문화PD의 최종 선발을 거쳐 1년간 소속된 지역에서 영상 콘텐츠 제작 활동 
- 지역의 문화, 역사, 예술, 축제 등 다양한 소재와 기획을 통해 콘텐츠의 생산 및 홍보 
- 문화관광부의 문화예술, 이뮤지엄, 문양원형 사업 등에서 기 구축된 양질의 문화정보 DB를 활용한 콘텐츠를 제작하여 문화정보 전달

 문화포털로의 콘텐츠 유입 및 정보연계 
- 문화PD를 통해 제작된 콘텐츠는 기본적으로 문화포털의 COMS 관리 시스템을 통해 평가위원단 심사 후 승인된 콘텐츠에 한해 문화포털에서 서비스됨


*문화PD 교육과정 소개

 문화산업계의 전문성과 실무능력이 탁월한 강사진을 섭외하여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이론 및  실습교육을 실시

 문화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지역문화의 특수성을 종합한 맞춤형 교육과정 설계 
 교육과 취업의 연계성을 가지게 하여 새로운 직업군과 문화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 
 개인별·팀별 클리닉과정을 통해 교육과정의 전반에 대한 상담 및 문제해결 능력 배양할 수 있도록 구성


더 자세한 정보는 한국문화정보센터 홈페이지(http://www.kcisa.kr/business/business_m02_01.asp?m=1&s=2&l=1)에서 찾아보시면 됩니다^^



그렇게 2013. 2.28일 서류전형 합격자를 대상으로 면접을 보았습니다.




면접은 일반 면접과는 달리 압박 면접이 아닌 자연스러운 분위기에서 화기애애하게 이루어집니다. 

보통은 3명씩 1조를 이루어서 2명의 면접관님(부장님과 교수님)과 자기소개서 및 앞으로 문화PD가 되었을 때에 만들고 싶은 영상 등에 대해서 물어보셨습니다. 면접 조의 분위기에 따라 전원 합격이 된 경우(?)도 있으니 면접 지원자들끼리 들어가기 전 잠시의 대기 시간이 있으니 그때 미리 친해지는 게 좋을 수도 있어요~.~ 


P.S. 이전에 만들었던 영상을 제출하였을 경우에는 아무래도 유리할 수도 있지만 꼭 영상 제작 실력만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큰 걱정은 안하셔도 무방하다는 사실. 





그렇게 2013.3.9일부터 문화PD 8기의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오리엔테이션 같은 경우도 그날을 즐기시기 위해서는 아무것도 모른 상태에서 가는 걸 추천해드려요~


괜히 정보유출로 인하여 재미가 떨어질 수도 있으니 비추....;;


문화 포털(http://www.culture.go.kr/)에 들어가시면 문화동영상란을 통해서 기존 문화PD들이 만들었던 영상 및 콘텐츠가 서비스되고 있으니 미리 보고 가는 센스가 있다면 더욱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웃음)


더욱 많은 정보는 문화포털 공식블로그(http://blog.naver.com/kcis_)를 통해서도 볼 수 있습니다~




<문화PD 8기 /  2013.03.09>






댓글수0